인터넷전문은행

인터넷전문은행의 디지털 자산 전략 개요

인터넷전문은행(인뱅)인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케이뱅크는 예대마진 수익 구조를 넘어 디지털 자산을 핵심 성장 동력으로 삼기 위해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대거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 연동성을 통해 가격 안정성을 확보한 디지털 자산으로, 결제·송금·투자 플랫폼과 결합 시 포용금융 확대 및 금융 생태계 재편의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국회에 발의된 ‘디지털자산기본법’이 원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하면서 제도화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어, 인뱅들은 상표권 출원 및 실증연구 참여를 통해 시장 선점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토스뱅크의 48건 상표권 출원 및 비즈니스 모델

토스뱅크는 6월 26일 ‘KRWTBK’, ‘KRWTSB’, ‘TSKRW’ 등 총 48건의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권을 출원하며, 대규모 브랜드 포트폴리오 확보에 나섰습니다.

  • 신용평가 모델과 포용금융 결합: 비금융 데이터 기반 신용평가 모델을 활용해 중·저신용자 대출 시장을 개척해온 토스뱅크는,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포용금융과 투자 플랫폼 결합 모델을 구체화할 계획입니다.
  • 실적 및 고객 규모: 2025년 1분기 기준 고객 수는 1,245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3% 증가했으며, 연결 기준 영업수익은 5,679억 원, 영업이익 709억 원을 기록하며 안정적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카카오뱅크의 12건 상표권 출원과 해외 진출 전망

카카오뱅크는 6월 23일 ‘BKRW’, ‘KRWB’, ‘KKBKRW’, ‘KRWKKB’ 등 4개 상표를 9·36·42류로 나눠 총 12건을 출원하며, 디지털자산 사업을 확대할 준비를 마쳤습니다.

  • 가상자산 서비스 현황: 지난 3월 코인원과 실명계좌 제휴를 통해 가상자산 시세 조회 및 자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해외 시장 진출: 태국 디지털은행 인가를 확보해 디지털 자산 보급률이 높은 태국 시장을 공략할 기반을 마련했으며, 스테이블코인 결합 금융 서비스 확대 가능성이 높습니다.
  • 고객 및 실적: 2025년 1분기 말 고객 수는 2,545만 명, 월간활성이용자수(MAU) 1,892만 명으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였으며, 순이익은 1,37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6% 증가했습니다.


케이뱅크의 실증연구 참여 및 시장 준비 현황

케이뱅크는 아직 상표권 출원 단계에는 미치지 않았으나, 오픈블록체인·DID협회 가입 및 기술·비즈니스 모델 검토를 통해 스테이블코인 발행 준비를 다각도로 진행 중입니다.

  • 협회 참여: 주요 은행과 함께 비영리 블록체인 협회 OBDIA의 스테이블코인 분과 신설에 참여해 제도화 가능성과 실효성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 고객 및 재무 지표: 2025년 1분기 말 고객 수는 1,363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했으며, 총자산은 30조4,000억 원으로 42% 성장했습니다.
  • 비즈니스 방향: 업비트 연계 실명계좌 경험을 바탕으로 결제·송금부터 가상자산 연계 금융상품까지 포괄하는 차별화된 서비스 출시가 유력합니다.


인뱅 3사의 시장 영향력 비교 및 전망

다음 표는 인뱅 3사의 주요 지표와 스테이블코인 관련 현황을 정리한 것입니다.

은행상표권 출원 건수2025Q1 고객 수 (만 명)총자산 (조 원)주요 파트너십·전략
토스뱅크481,245비금융 신용평가·포용금융 결합 투자 플랫폼 개발
카카오뱅크122,54560 (수신)코인원 실명계좌 제휴, 태국 디지털은행 인가 기반 해외진출
케이뱅크0 (검토 중)1,36330.4OBDIA 협회 참여, 업비트 실명계좌 경험 기반 디지털자산 혁신

스테이블코인은 예금을 대체할 수 있는 유동성·안정성 수단으로 발전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인뱅 3사는 공격적 상표권 출원과 실증연구 참여를 통해 제도화 논의에 선제 대응하면서, 디지털 자산 중심의 금융 생태계 재편을 주도할 전략적 포석을 마련했습니다. 앞으로 각 사가 스테이블코인을 실제 서비스에 적용하는 시점과 방식, 그리고 시장 반응이 금융권 경쟁 구도와 고객 경험에 어떤 변화를 불러올지 주목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