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웨이스트 소비 하락: 현황과 원인

제로웨이스트(Zero Waste) 소비는 2023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인식과 동의 수준이 크게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소비 지표에서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예컨대, 글로벌 직접 폐기물 관리 비용은 2020년 2,520억 달러였으나 기후 변화와 건강 비용을 포함하면 3,610억 달러에 이르렀고, 2050년까지는 6,403억 달러로 두 배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반면, 소비자들의 제로웨이스트 상점 방문이나 무포장 식품 구매 비율은 정량적 조사에서 최근 12개월간 평균 1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전환율 저하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괴리는 크게 경제적 제약, 제로웨이스트 시장의 구조적 문제, 그리고 소비자 일상 적용의 어려움 세 가지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소비자 인식 vs. 실제 행동 간 격차

PwC의 2024년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9%가 친환경 상품에 대한 지불 의사가 있다고 답했으며, 평균 9.7%의 가격 프리미엄을 감수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습니다​PwC. 그러나 실제 구매 전환율은 30% 수준으로 낮아, ‘의도-행동 간 격차(Intent-Behavior Gap)’가 뚜렷하게 존재합니다. 이 격차는 소비자가 친환경을 지향하지만, 가성비와 편의성을 앞세운 전통 소비 패턴이 여전히 강력하게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제로웨이스트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정보 접근성 부족, 제품 다양성 저하, 오프라인 매장의 제한된 입지 등이 소비자 행동을 제약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수리·수선 시장의 부상과 경제적 효과

글로벌 수리·수선(MRO; Maintenance, Repair and Operations) 시장은 2023년 1조5,360억6천만 달러에서 2024년 1조6,652억6천만 달러로 연간 8.4% 성장했으며, 2029년까지 지속적인 확장을 전망하고 있습니다​비즈니스 리서치 글로벌 인사이트.

이 시장은 새 제품 생산 없이 기존 자산의 가치를 높이는 ‘회복적 경제(Restorative Economy)’의 핵심 축으로, 친환경성과 경제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모델입니다. 또한, 자동차 정비 시장만 해도 2024년 7,145억 달러 규모를 기록하며 전체 MRO에서 약 43%를 차지하는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수리·수선 서비스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습니다​IMARC.

구분시장 규모 (2023)예상 시장 규모 (2024)CAGR (%)
글로벌 MRO 시장1,536.06조 USD1,665.26조 USD8.4%
자동차 정비 시장714.51억 USD4.18% (2025~33)


플랫폼 사례 분석: DEPOP의 성공 요인

영국 기반 빈티지 및 리폼 의류 플랫폼 DEPOP은 2024년 총 거래액(GMS; Gross Merchandise Sales) 7억8,8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순수한 리셀(Re-sell) 생태계에서 자본 가치를 창출한 대표적 사례입니다. 특히 MZ세대(밀레니얼+Z세대)의 친환경·개성 추구 트렌드를 결합해 회원 수 3,500만 명, 활성 구매자 420만 명, 활성 판매자 190만 명을 확보함으로써 재생산 없는 시장 모델의 상업적 타당성을 입증했습니다.

DEPOP의 성장 요인은 ▲간편한 모바일 UI/UX ▲커뮤니티 기반 소통 강화 ▲스타일 큐레이션 시스템 ▲투명한 결제·배송 프로세스 등으로, 이는 제로웨이스트 소비가 실질적으로 자리 잡기 위한 플랫폼 설계 방향을 제시합니다.


미래 전망: 회복적 전환을 위한 전략적 제안

제로웨이스트 소비와 수리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적 접근이 요구됩니다. 첫째, 소비자 행동 전환을 돕는 인센티브 설계: 친환경 상품 구매 시 세제 혜택 또는 리펀드(Refund) 프로그램 도입. 둘째, 정보 접근성 강화: 공공·민간 협업으로 제로웨이스트 상점 위치 정보, 제품 비교 데이터베이스 구축. 셋째, 수리·수선 서비스의 지역 기반 확장: 중소 수리점 네트워크 디지털 플랫폼화, 모바일 출장 수리 서비스 활성화.

마지막으로, 정책 지원 및 투자 유도: 수리산업 관련 스타트업에 대한 R&D 보조금 지급 및 인프라 투자로 시장 진입 장벽 완화. 이러한 회복적 전환(Restorative Transition)의 구체적 실행이 제로웨이스트 소비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할 것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