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웨이스트(Zero Waste) 개념과 정책 배경

제로웨이스트는 ‘쓰레기 배출을 최소화하고 모든 자원을 순환·재사용해 폐기물을 제로(Zero)에 가깝게 줄이는 생활·생산방식’을 의미합니다. 한국 정부는 2018년 ‘자원순환사회 전환 기본법’을 제정하며 전국적인 제로웨이스트 정책을 본격 추진했고, 이후 지자체별로 ‘제로웨이스트 도시’ 조성을 위한 마켓(상점) 지원, 교육 프로그램, 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국가 정책: 자원순환사회 전환 기본법(2018) → 제로웨이스트 마을·도시 조성
  • 지자체 전략: 제로웨이스트 상점(Shop in Shop) 지원, ‘제로웨이스트 페스티벌’ 개최, 민간 인증 확대
  • 민간 참여: 리필 스테이션·업사이클링·친환경 제품 생산기업 인증

표 1. 제로웨이스트 관련 주요 법률·프로그램

구분주요 내용
자원순환사회법2018년 제정, 폐기물 감량 및 자원순환 기본 방향 규정
제로웨이스트 마을지자체별 마을 단위 리필 스테이션 및 교육 프로그램 지원
인증제도국제지속가능인증원(IGSC) ‘제로웨이스트’ 인증, 골드/실버 등급


인천 마켓 사례 분석

인천시는 ‘환경특별시 인천’ 비전 아래 2020년 3개에 불과하던 제로웨이스트샵을 2025년 현재 20여 개로 확대한 뒤, 다양한 형태의 리필·업사이클 매장 네트워크를 구축했습니다. 대표적인 매장은 ‘플래닛어스’, ‘새활용+알맹e가게’, ‘얼스호텔’ 등이며, 이들 매장은 무인 리필 스테이션 운영, 업사이클링 교육, 교환·공유 시스템 등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매장 수: 2020년 3곳 → 2025년 20여 곳 경인매일 – 세력에 타협하지 않는 신문
  • 인천e음가게: 2025년 70곳 확대 예정, 2024년 참여 가구 1,244가구·62,724kg 자원순환 실적 경인일보
  • 주요 협력: 지역 생활협동조합·소비자단체·사회적경제기업(협동조합·사회적기업 등)

표 2. 인천 주요 제로마켓 운영 현황

매장명위치운영시간주요 서비스
플래닛어스연수구 인천타워대로 257 C동 120호09:00~21:00리필 스테이션(세제·샴푸), 비포장 제품
새활용+알맹e가게미추홀구 매소홀로290길 710:00~17:00업사이클 패션·공예, 물품공유센터
얼스호텔부평구 부평문화로 161 2층금 11:0019:00
토 11:30~18:30
교환·적립 시스템(우유갑 등), 빈티지 제품

인천시는 ‘2025년 수도권쓰레기매립지 종료’를 앞두고 제로웨이스트샵을 통한 시민 참여를 강화하며, 지역화폐 연계 보상으로 친환경 소비 확산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서울 제로웨이스트 마켓 확산 현황

서울시는 ‘제로웨이스트 생활문화 확산’을 위해 매년 ‘서울제로마켓’과 ‘제로웨이스트 페스티벌’을 개최하며, 매장 지원 및 인증체계로 상점 확산을 추진중입니다. 2025년에는 ‘제로웨이스트 페스티벌’을 연 2회(4월·5월)로 확대하고, ‘나만의 행성’ 워크숍, 패션쇼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 서울제로마켓 행사(2025년):
    • 일시: 4월 2021일, 2728일
    • 장소: 성동구 서울새활용플라자
    • 참여 업체: 총 23개 (비건 베이커리·의류 교환 등)
  • 제로웨이스트 페스티벌: 연 1회 → 연 2회 확대, 1회당 평균 55,000명 방문 목표 연합뉴스
  • 지원 정책: 매장비용·온라인 홍보비 지원, 제로웨이스트 제품·서비스 개발 기업도 대상 확대

표 3. 2025 서울제로마켓 주요 지표

구분내용
행사 일자4/2021, 4/2728
참여 업체 수23개
주요 프로그램비건 베이커리, 의류 교환, 업사이클 워크숍
제로웨이스트 페스티벌 횟수연 2회

서울시는 특히 ‘제로웨이스트 아카데미(연간 20,000명 목표)’, 대학생 디자이너와 함께하는 패션쇼, 민간 전시 협업 등을 통해 생활 속 제로웨이스트 실천 문화를 정착시키고 있습니다.


인증 기업 사례: ㈜리그라운드 제로웨이스트 인증

친환경 봉투 전문기업 ㈜리그라운드는 2021년 11월 국제지속가능인증원(IGSC)으로부터 제로웨이스트(골드 등급)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이 인증은 ‘폐기물 최소화·자원 순환 노력’을 평가하며, 특히 생분해성 플라스틱·비닐 제품의 상업적 생산·유통을 인증합니다.

  • 인증 기관: 국제지속가능인증원(IGSC)
  • 인증 등급: 골드
  • 인증 요건: 폐기물 감축 구체적 목표 설정, 재활용·업사이클 제품 비율 80% 이상, 공급망 투명성 확보
  • 협업 기업: 국내 대기업·유통사와 친환경 제품 도입 프로젝트 다수 추진

리그라운드는 인증 이후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며, 매년 10% 이상 매출 성장률을 기록 중입니다(2023년 기준 전년 대비 +12%). 이처럼 민간 인증 확대는 기업의 친환경 경쟁력 강화와 소비자의 신뢰 획득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정책·전망: 제로웨이스트 마켓의 과제와 기회

전국 지자체가 제로웨이스트 마켓 활성화에 나서고 있으나, 상점당 운영 비용, 소비자 인식 격차, 재정 지원 한계 등이 남아 있습니다. 향후 제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지원
    • 리필 스테이션 유지 보수, 물류 인프라 지원
    • 사회적기업·협동조합과의 연계 강화
  2. 데이터 기반 소비자 인센티브 확대
    • 지역화폐·포인트 연계 실적 데이터 공개
    • 참여 가구·업체 실적 KPI 관리
  3. 통합 인증체계 도입
    • 중앙·지자체·민간 인증 연계 플랫폼 구축
    • 인증 점수 기반 정부·민간 지원 차등화
  4. 교육·홍보 강화
    • 학교·기업 대상 제로웨이스트 교육 의무화
    • 디지털 플랫폼(앱·SNS) 활용 시민 참여 캠페인

표 4. 제로웨이스트 마켓 발전 로드맵

단계주요 과제기대 효과
단기(1년)유지비 지원·홍보 강화초기 안정화, 인지도 확대
중기(3년)인증 통합 플랫폼 구축운영 투명성 확보, 참여도 향상
장기(5년+)정책 연계 사회적경제 활성화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생태계 조성

제로웨이스트 마켓은 단순한 상업 공간을 넘어 ‘자원순환 생태계’의 핵심 축입니다. 정부와 지자체, 민간이 협력해 데이터 기반 정책·인증체계를 정비하고, 소비자 인센티브를 강화할 때 제로웨이스트의 지속성장이 가능할 것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