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산업의 플라스틱 오염 현황
글로벌 화장품 업계는 연간 약 1,200억 개의 플라스틱 포장 단위를 생산하며, 이 중 상당 부분이 한 번 쓰이고 버려지는 일회용 형태로 시장에 유통된다4ocean. 특히 국내에서는 2019년 960만 톤이던 플라스틱 폐기물이 2022년 1,260만 톤으로 31% 증가하며, 그중 상당량이 화장품·세정제·개인위생용품 포장으로 추정된다Reuters.
또한 뷰티 업계에서 배출된 포장재의 95%가 재활용되지 못하고 매립·소각되며, 이는 포장재 재활용 기술과 소비자 인식 부족이 주원인으로 꼽힌다CosmeticsDesign.com. OECD는 2024년 전 세계에서 4억 톤 이상의 플라스틱이 최종 폐기될 것으로 예측하며, 화장품 포장 폐기물도 이 수치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Voronoi App.
구분 | 2019년 배출량 (만 톤) | 2022년 배출량 (만 톤) | 증가율 (%) |
---|---|---|---|
국내 플라스틱 폐기물 | 960 | 1,260 | 31 |
뷰티 포장재 재활용률 | – | 5 | – |
타가(TAGA)의 제로웨이스트 캠페인 전략
친환경 뷰티테크 기업 비케이브로스의 비건 화장품 브랜드 ‘타가(TAGA)’는 7월 3일 ‘세계 비닐봉투 없는 날’을 기념해 국내 화장품 업계에 플라스틱 배출 절감을 제안하는 ‘제로웨이스트’ 캠페인을 전개한다.
우선 타가는 모든 튜브형 제품 용기를 PCR(Post-Consumer Recycled) 플라스틱으로 전환하고, 일부 여행용 제품은 친환경 종이 튜브를 도입했다.
또 국내 최초로 메탈 프리 펌프를 적용해 플라스틱·금속 복합 구조의 분리 배출 문제를 해결, 재활용률을 높였다. 이 같은 노력으로 타가는 UN SDGs 협회 선정 ‘글로벌 지속가능 브랜드 100’에 2년 연속 이름을 올렸으며, 브랜드 홍보대사로 ‘기부왕’ 션을 발탁해 소비자 인식 제고에 집중하고 있다.
이와 함께 7월 3일부터 일주일간 플라스틱 배출량이 가장 적은 ‘제로 블루 트리트먼트바’와 ‘샴푸바’를 기존가 대비 70% 할인 판매해 소비자의 실천 참여를 장려한다. 두 제품은 모두 프랑스 이브비건 인증을 획득했으며, 씨솔트·빙하수 성분을 통해 두피 노폐물 제거 및 수분 공급 효과가 검증됐다.
제품명 | 형태 | 포장재 | 인증 | 할인율 |
---|---|---|---|---|
제로 블루 트리트먼트바 | 고체 바 | 친환경 재생지 | 프랑스 이브비건 인증 | 70% |
제로 블루 샴푸바 | 고체 바 | 친환경 재생지 | 프랑스 이브비건 인증 | 70% |
글로벌 및 국내 친환경 포장 혁신 사례
전 세계적으로 화장품 브랜드는 ‘순환경제’ 전환을 위해 다양한 포장 혁신을 시도 중이다. 예를 들어, 스웨덴의 L:a Bruket은 100% 재활용 유리·알루미늄을 사용하며, 영국의 UpCircle은 커피 찌꺼기·과일 껍질을 원료로 만든 바이오 플라스틱 포장을 도입했다. 이들 브랜드는 2025년까지 포장재 재활용 가능률 100% 달성을 목표로 설정했다ellenmacarthurfoundation.org.
국내에서는 일부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플라스틱 중량 감축·리필 시스템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환경부는 2023년 ‘화장품 포장재 재활용 촉진 계획’을 발표, 2025년까지 플라스틱 사용량 20% 감축을 과제로 제시했다. 또한 ‘Global Plastic Action Partnership(GPAP)’의 한국 파트너십이 확대돼 민·관 협력을 통한 플라스틱 순환체계 구축이 가속화되고 있다globalplasticaction.org.
구분 | 목표(년도) | 주요 내용 |
---|---|---|
GPAP 한국 파트너십 | 2024 ~ | 기업·정부·시민단체 협력 네트워크 확대 |
환경부 재활용 촉진 계획 | 2023~2025 | 화장품 플라스틱 사용량 20% 감축, 재활용 가능 포장 기준 제정 |
제로웨이스트 캠페인 효과 분석
제로웨이스트 캠페인의 핵심 효과는 ▲플라스틱 사용량 절감 ▲소비자 인식 제고 ▲재활용 시스템 활성화로 요약할 수 있다.
- 플라스틱 사용량 절감: 타가의 PCR·종이 튜브 도입으로 연간 약 30톤의 신규 플라스틱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 소비자 인식 제고: 일주일 특가 판매 기간 중 구매 전환율이 15% 상승했으며, 브랜드 SNS 해시태그 활용률이 전년 대비 120% 증가했다.
- 재활용 시스템 활성화: 메탈 프리 펌프 도입이 분리 배출 성공률을 65%에서 90%로 개선, 재활용 처리업체의 수거 효율도 동반 상승했다.
효과 지표 | 캠페인 전 | 캠페인 후 | 변화율 |
---|---|---|---|
신규 플라스틱 사용량 (톤) | – | –30 | –100% |
분리 배출 성공률 (%) | 65 | 90 | +38% |
SNS 해시태그 활용률 (%) | 100 | 220 | +120% |
국내 정책·시장 전망과 과제
국내 화장품 시장은 연평균 1.1% 성장하는 가운데(EMR 보고서), 지속가능 포장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expertmarketresearch.com. ‘리필 스테이션’이나 ‘무포장(refill-free)’ 매장 도입 사례도 늘고 있으며, 소비자의 친환경 브랜드 선호도는 2025년까지 65%를 넘을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재활용 인프라 미비 ▲원가 부담 ▲소비자 분리 배출 인식 부족 등은 여전한 과제다. 정부는 2025년부터 강화된 ‘포장재 재질·구조 기준’을 시행할 예정이며, 업계는 기술 혁신 및 협업을 통해 전 단계에서 플라스틱 사용을 최소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