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가능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회용 식기 대여·세척 서비스 분석

다회용 식기 서비스 개요 및 시장 동향 다회용 식기 대여·세척 서비스는 행사, 케이터링, 축제 등에서 일회용 식기를 대체하기 위해 플라스틱·스테인리스·도자기 등 재사용 가능한 식기를 대여하고, 회수 후 전문 세척 시설에서 위생 관리까지 일괄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한국에서는 ‘리턴미(ReturnMe)’, ‘트래시버스터즈’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전국 축제장 및 대형 행사에 식기를 공급하며 친환경 순환 경제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2024년 … Read more

인도 일회용 플라스틱 규제 현황과 재사용 용기 확산 분석

인도의 일회용 플라스틱 금지 법 시행 현황 인도 정부는 2022년 7월 1일부로 ‘일회용 플라스틱(Single-Use Plastics, SUP) 19종 금지 조치’를 발효하며, 플라스틱 빨대·젓가락·접시·컵·포크·나이프·비닐봉투 등 저가·고위험 일회용품의 생산·수입·유통·판매를 금지했다. 이 조치는 ‘플라스틱 폐기물(개정) 규칙 2021’에 근거하며, 단계적으로 차츰 시행 강도를 높여가고 있다. 금지 품목 시행일 플라스틱 비닐봉투 (<75μm) 2022년 9월 30일 플라스틱 비닐봉투 (<120μm) 2022년 12월 31일 … Read more

인도네시아 리필(re‐fill): Alner×Unilever 협업 통한 순환경제 가속화

인도네시아 리필 시장 개요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 규모의 플라스틱 소비국이자 급격한 도시화로 쓰레기 처리가 사회·환경 문제로 대두되는 국가입니다. 특히 가정용 세제, 화장품, 식료품 등 일상 소비재 분야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포장 사용량이 연간 수백만 톤에 달하며, 이로 인한 해양·토양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지 정부는 2022년 ‘국가 플라스틱 감축 로드맵’을 발표했고, 기업·시민·NGO가 참여하는 … Read more

Toko Cura: 리필 시스템 세리부 제도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저감 혁신

프로젝트 개요 ‘Toko Cura’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인근 세리부 제도(Kepulauan Seribu)의 소규모 상점을 대상으로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해 도입된 “Reuse & Refill” 매장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Divers Clean Action(DCA)에서 개발·운영하며, 독일 연방경제협력개발부(BMZ)와 독일국제협력공사(GIZ)의 지원을 받아 2019년부터 시범 시행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식용유, 세제, 샴푸 등 일상 필수품을 다회용 용기에 담아 구매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소비자 및 소매점이 플라스틱 폐기물을 … Read more

필리핀 일회용 파우치 리필 프로젝트: 지속가능 포장 솔루션 성과 과제

프로젝트 배경: 일회용 파우치의 환경 문제 필리핀을 비롯한 동남아·남아시아 지역에서는 샴푸·린스·바디워시·세제 등 FMCG(생활화학제품)를 소량 포장한 ‘일회용 파우치(sachet)’가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이 파우치는 경량·저비용이지만, 재활용이 불가능한 다층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처리 인프라가 취약한 지역에서 곧바로 환경부담으로 전이된다. 전 세계적으로 재활용률은 10% 미만에 불과하며, 필리핀 기업들이 하루에 배출하는 파우치만 해도 약 1억 6,400만 개에 달한다. 또한 필리핀은 연간 2.7백만 … Read more

베트남 제로웨이스트 리필스테이션 ‘리필러블동데이’ 전략 분석

리필러블동데이 개요 및 성장 현황 리필러블동데이는 베트남에서 5년 넘게 운영된 최초의 리필스테이션 겸 제로웨이스트 샵으로, ‘순환경제(Circular Economy)’ 모델을 현지에 정착시키고 있다. 2018년 호이안에 첫 문을 연 이래, 초기에는 세제·바디워시·식용유 등 17개 품목을 취급했으나, 지속적인 지역 수요 분석과 공급망 최적화를 통해 현재 200개 이상의 SKU(Stock Keeping Unit)를 제공하고 있다. 매장 수는 호이안 2개, 하노이 1개로 총 … Read more

고물가 시대 식품 폐기물 절감 플랫폼 분석

배경: 고물가 시대와 친환경 소비 트렌드 최근 전 세계적으로 식품 가격이 지속 상승하는 ‘고물가 시대’를 맞아 소비자들은 비용 절감과 함께 친환경 소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실제로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약 40%에 해당하는 25억 톤이 매년 폐기되며, 이는 초당 80,000kg의 식품이 버려지는 셈이다. 식품 폐기물은 온실가스 배출량의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 지구 담수 자원의 … Read more

외식업계의 친환경 전략: MZ세대 공략을 위한 데이터 기반 분석

MZ세대의 친환경 소비 행동 분석 MZ세대(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를 합친 용어)는 기후변화와 환경 보호를 개인의 일상적 선택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특히 식문화를 통해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려는 경향이 뚜렷하다. DBpia 연구에 따르면, MZ세대의 친환경 소비태도에는 ‘환경효능감’이 78.3%의 영향을 미치며, 이 태도를 가진 이들의 93.7%가 실제로 친환경 제품을 구매할 의사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생글기자 코너를 통해 … Read more

아시아 재사용 컨소시엄(ARC): 재사용 시스템 통한 플라스틱 위기 극복

ARC 설립 배경 및 구성 2024년 1월 11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출범한 아시아 재사용 컨소시엄(Asia Reuse Consortium, ARC)은 재사용 모델을 아시아 전역에 확산하기 위해 시민사회 조직(CSO), 기업, 정부를 망라한 다자간 협의체다. ARC는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인도 등 13개국에서 선발된 18명의 대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국의 현지 이니셔티브를 연계·강화할 네트워크 허브로 기능한다. 이 컨소시엄은 Dietplastik Indonesia, GAIA Asia … Read more

음식물 쓰레기가 기후 위기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전략

문제 제기: 음식물 쓰레기와 온실가스 연결고리 전 세계에서 매년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는 온실가스 배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8~1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항공 분야의 배출량보다 거의 다섯 배나 높은 수준으로, 식품 폐기는 단순한 자원 낭비를 넘어 기후 위기의 가속화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아래 표는 주요 부문별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 … Read more